사진강좌
출처--
1. 35미리카메라(소형) 필름폭이 35미리짜리를 사용하는 카메라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형카메라다. |
2. 중형카메라 필름폭이 60미리짜리를 사용하는 카메라로 35미리 카메라보다 필름규격이 크기 때문에 선명하고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문가용 카메라다. |
3. 대형카메라 필름규격 4"×5" 이상을 사용하는 전문가용 카메라로 상업사진, 풍경사진등 정밀을 요하거나 초대형 사진을 만들 때 사용한다. |
1. 1眼 렌즈식 카메라 촬영렌즈와 뷰화인더가 따로되어 있는 렌즈로 뷰화인더로 본 범위와 실제 사진이 찍히는 범위가 달라 근접(접사) |
2. 일안 렌즈식 카메라
|
1. 자동노출 선택 모드( P·S·A ) |
1) P (Program) 모드 미리 짜 넣은 프로그램에 따라 필름의 감도와 TTL 노출계가 측정한 피사체의 밝기에 알맞는 셔터속도와 조리개 구경(f stop)을 자동으
로 조절하여 주는 방식이다. 조리개도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조리개 눈금을 그 렌즈의 가장 작은 구경인 최소조리개( f 16 or f 22 )
눈금에 맞추어 주어야 작동된다. P 모드에서는 1/60초 보다 빠른 속도로 |
2) S (TV) 모드(셔터우선식) 셔터 속도를 촬영자가 먼저 선택하면 그 속도에 알맞는 조리개 구경을 자동으로 맞추어 주는 방식이다. |
3) A (AV) 모드(조리개우선식) 조리개 구경(f stop)을 먼저 선정하면 그 조리개의 크기에 알맞는 셔 터속도를 자동으로 맞추어 주는 방식이다. |
2. 수동노출 ( M (Manual) ) |
조리개와 셔터속도를 촬영자의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. |
초점 맞추기는 사진의 기본이다. 특별한 창작 의도로 일부러 초점을 맞추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면 정확한 초점에 |
1. 수동초점 SLR카메라 초점 맞추기 마이크로 프리즘에 얼룩이 져 보이다가 초점 링을 돌려 초점이 맞으면 말끔해 지면서 선명하게 보이는 방식과, |
2. 자동초점 카메라 초점 맞추기 |
1) 자동 초점 콤펙트 카메라는 뷰 파인더의 화면 중앙에 있는 자동 초점 마크를 피사체에 맞추어 셔터버튼을 가볍게 반 누름 하면 적외선
빔을 쏘아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거리를 측 정 초점을 맞추어 준다. |
2) 자동 초점 SLR카메라는 이미지 스크린 중앙부에 있는 자동초점 프 레임(Auto Focus Fram)으로 초점을 맞춘다. 초점이 맞으면 이미 지 스크린 아랫쪽에 있는 자동초점 확인마크가 점등된다. |
1. 렌즈 셔터 콤펙트 카메라에는 대부분 렌즈 셔터가 설치되어 있다. |
2. 포컬 플레인 셔터 카메라의 필름면(초점면) 바로 앞에 막으로 된 셔터를 좌우(전자제어식 은 상하로)로 이동하게 만든 것을 포컬 플레 |
셔터는 카메라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시간적으로 조절하며 셔터 속도는 움직이는 물체의 표현에 영향을 주게 된다. 빠른 셔터 속도는 움직임을 정지 시켜 주며 느린 셔터 속도는 물체의 움직임에 동감을 나타낸다. |
셔터속도는 1, 1/2, 1/4, 1/8, 1/15, 1/30, 1/60, 1/125, 1/250, 1/500, 1/1000,
1/2000, 1/4000, 1/8000초 그리고 벌버(bulb)셔터가 있는데 전자셔터 중에는 2초, 4초, 8초, 15초, 30초 까지도
제어되는 것이 있다. 벌버 셔터는 셔터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계속 열려있다. |
조리개는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. 조리개의 크기(렌즈구경)에 따라서 빛이 통과하는 양을 셔터 속도 |
한 눈금 차이를 한 스톱(stop) 이라 하며 한 스톱 노출을 더 주려면 바로 옆의 작은 숫자로 열어주고 한 스톱 노출을 줄여 주려면 옆의
큰 숫자로 좁혀 주면 된다. |
조리개 구경이 크면 피사계 심도는 얕아져서 초점이 맞는 곳 이외의 앞 뒤의 물체는 흐려 보이며, 구경이 작아 질수록 심도는 깊어져 앞뒤가 선 명해 진다. (망원렌즈 일 수록 구별이 확연하다) |
조리개 구경이 크면 시간은 짧게, 구경이 작아질수록 시간은 더 많이 주어 일정한 량의 빛이 필름을 감광시킬 수 있도 | ||||||||||||||||||||||
-셔터·조리개 관계(아래표는 똑같은 노출량임)-
|
1. 초점 거리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렌즈의 초점을 무한원에 맞추었을 때 렌즈의 제2주점(후측주점, 대부분 의 렌즈는 조리개가 있는 곳)으로부터 초점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
2. 렌즈의 밝기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렌즈를 통과한 빛이 필름에 도달하는 양(量)을 렌즈의 밝기라 한다. 따라서 같은 구경의 렌즈라도 초점거리가 짧으면 밝고, 초점거리가 길면 어두워 진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
3. 렌즈의 화각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광각 일수록 화각이 넓고 망원 일수록 화각이 좁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사진을 보면 초점을 맞춘 곳의 앞뒤로 일정 범위까지는 선명하게 보인다. 이범위를 피사계 심도라 한다. |
1. 피사계 심도 조절 방법 |
1) 조리개를 구경이 작을수록 심도는 깊어진다. |
2. 피사계 심도 측정 방법 |
뷰 파인더 에서는 사용하는 렌즈가 맺은 가장 얕은 심도의 영상을 보게 된다. |
렌즈를 통해 들어온 피사체의 영상을 셔터를 열어서 필름에 감광 시키는 것을 노출 이라고 한다. |
1. 노출 측정 방식 |
1) 중앙부 중점 측광 방식 대부분의 카메라에 쓰이는 측광방식으로 화면 전체를 측광하나 중앙부에 많은 비중을 두고 측광한다. |
2) 스포트(spot) 측광 방식 화면의 한 부분 또는 중심 부분만을 부분 선택하여 측광한다. 측광 부분의 선택에 따라 노출이 크게 달라지므로 |
3) 분할 측광 방식 화면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측광하는 첨단의 노출방식 이다. |
2. 노출 보정 기능 |
자동 노출 카메라에는 촬영 조건에 따라 노출을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. |
1. 필름의 종류 | ||||||||||||||||||||
1) 흑백 필름 흑백 필름은 모든 피사체를 흰색에서 회색 검정색의 여러단계의 톤 (Tone) 으로 재현하는 필름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
2) 컬러 네가티브(Color Negative)필름 컬러 필름에는 3층의 유제층이 있어 각각의 색광에 반응하며 조화를 이루어 다양한 색을 만들어낸다. | ||||||||||||||||||||
3) 컬러 리버설(Color Reversal)필름 컬러 슬라이드(Color Slide)용 필름으로 더 많이 알려진 투명 양화용 필름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
4) 특수 목적 필름
| ||||||||||||||||||||
2. 필름의 규격 | ||||||||||||||||||||
1) 135 35㎜카메라에는 35㎜롤필름(Roll Film) 즉 135필름이 사용된다. 135 필름은 필름의 양 가장자리에 구멍을 뚫어
| ||||||||||||||||||||
2) 120/220 필름폭 60㎜롤필름에는 120과 220이 있는데 모두 중형카메라에 사용되는 필름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
3) 4″× 5″시트 필름 대형 카메라용 필름이다. 시트 필름(Sheet Film)은 낱장으로 되어있 다. | ||||||||||||||||||||
3. 필름의 감도 | ||||||||||||||||||||
|
1. 순광(정면광) 카메라의 뒤쪽에서 피사체의 정면을 비추는 광선으로 그림자가 없어 입체감과 질감이 나타나지 않는다. |
2. 측광 카메라의 좌우측에서 피사체를 향해 90°정도의측면에서 비추는 빛으로 피사체의 한쪽은 밝고 반대쪽 그림자는 어 |
3. 반역광(사광) 피사체의 뒤쪽 좌우에서 비스틈이(45°정도) 비추는 빛으로 카메라로부 터 135°정도의 위치의 빛을 반역광이라 한다. 반역광 에서는 실제
이상의 입체감과 깊이를 느낄수 있어 산악사진이나 풍경 사진에서 사진만이 갖는 독특한 영상미 |
4. 역 광 피사체의 뒤쪽에서 비추는 빛으로 카메라가 광원쪽을 향해 찍는다. 역광은 평범한 광경도 윤곽선을 강렬하게 드러내 극적인 효과를 높인다 하여
라인 라이트(Line Light) 라고도 부른 다. |
1. 플레쉬의 종류 |
2. 플레쉬 동조 셔터막이 좌우로 이동하는 카메라는 1/60초, 상하로 이동하는 카메라는 1/125∼1/250초가 싱크로 타임(Synchro
|
1. 필터의 종류 |
1) 흑백용 필터 |
UV(Ultra-Violet) 필터 눈으로 보이지 않는 자외선에 필름은 감광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흡수하여 필름에 감광되지 않도록 한다. |
노랑(Yellow) 필터 노란 색광은 통과 시키고 자외선, 자색, 청색광은 흡수하는 필터로 콘트라스트를 강조 한다. |
오렌지(Orange) 필터 주황색을 밝게 자외선, 청자색, 녹광색의 일부까지 흡수 파란색의 물체를 실제보다 어둡게 묘사한다. |
빨강(Red) 필터 오렌지 필터보다도 녹색 황색광의 일부까지 흡수하여 파란색은 아주 어둡게, 빨강과 오렌지색은 밝게 나온다. |
2) 칼라용 필터 |
스카이 라이트(Sky Light) 필터 컬러 필름은 야외 촬영 시 백색의 피사체에 반사된 천공 광(Sky Light)의 영향으로 푸른 기운이 감돈다. |
색 온도 변환(Color Conversion) 필터 |
3) 흑백 칼라 겸용 필터 |
P L(Polarizing 편광) 필터 편 광필터는 수면반사, 유리등 비금속의 매끄러운 표면의 반사를 줄이거나 없애는데 사용된다. |
N D(Neutral-Density) 필터 ND 필터는 회색의 짙은 농도를 갖는 필터로 모든 파장의 빛을 똑같이 줄여 주는 역할을 하므로 색채에는 변화가 없 |
4) 특수 효과용 필터 |
크로스 스크린(Cross-Screen) 필터 모든 불빛을 필터에 그려넣은 가로세로의 선에 따라 반짝 빛나는 모습으로 갈라 놓는다. |
소프트 포커스(Soft Focus) 필터 연초점렌즈(교환렌즈 참조)의 효과를 내기위한 필터다. 부드럽고 은은한 분위기와 인물에서의 주름이나 흉터등을 |
F L(Fluorescent : 형광등) 필터 조명 기구로 널리 쓰이는 형광등은 빛의 분광분포가 태양광과 달라 칼라 사진에서 바른색 재현이 되지 않는다. |
1. 접 사 |
1) 접사용 기재 |
클로즈업 렌즈(Close-up Lens) 클로즈업 렌즈는 돋보기처럼 볼록렌즈로 되어있다. |
접사링과 벨로우즈 접사링과 벨로우즈는 렌즈와 카메라 본체 사이에 끼워 찍는 장치이다. |
매크로(MACRO·Micro)렌즈 매크로 렌즈는 접사, 복사 전용으로 설계된 렌즈다. 접사 배율이 1 : 1 또는 1 : 2까지 접사가 가능하다. |
줌렌즈(Zoom Lens)의 매크로 기능 대부분의 줌렌즈는 매크로 기능을 갖고 있다. |
리버스 링(Reverse Ring) 표준렌즈나 광각렌즈를 뒤집어 끼우는 장치이다. 렌즈의 필터링 에 연결하여 카메라 본체의 마운트에 장착할 수 있어 간편하고 해상력도 좋다. 표준렌즈는 1 : 1 접사가 가능하며 광각렌즈의 경우는 실물보다 더 크게 찍을 수 있다. 렌즈의 뒷면이 앞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렌즈의 광학유리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주의해 야 한다. |
2) 복 사(Copy) 평면의 피사체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을 복사라 한다. 사진이나 그 림, 서적등의 복사는 물론 흩어진 중요한 기록들 |
필름의 선택 복사물의 내용, 색상 등을 고려해서 필름을 선택한다. 빛바랜 사진 을 컬러필름으로 촬영하면 변색된 모습을 그대로 |
조 명 복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복사물에 균일한 빛을 주는 것이다. 빛의 얼룩이 생기면 안된다. |
자료출처--http://cafe.daum.net/sazinesalang
카메라의 설치 복사물과 필름면이 평행을 유지해야 하므로 복사 전용의 복사대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며, 삼각대의 엘리베이트를 거꾸로 꽂아 촬영하는 방법과, 벽면에 복사물을 고정시키고 카메라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추어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. |
노 출 복사물이 반사량이 많은 흰 종이거나 반사량이 적은 어두운 물체일 때 그 노출 량은 크게 달라지게 된다. |
- 분위기를 해치는 저속한 사진이나 글을 올리실 경우에는 관리자 임의로 게시물을 삭제처리 합니다.
- 갤러리에 게시된 모든 사진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저작권자와의 상의없이 이용하거나 타 사이트에 게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.
-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 하며,
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